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재산세 조회와 기한 안내 | 빠르고 정확하게 납부하는 방법은?

by BBang수니 2023. 7. 25.
728x90

7월은 재산세 납부하는 달: 빠르고 정확하게 납부하는 방법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부과하고 있습니다. 7월의 경우 납부기한은 7월16일부터 7월 31일 까지 입니다.  납기일이 지나 재산세를 늦게 낸다면 가산세 3%부가 됩니다. 재산세가 100만원이라고 가정했을때 3만원을 더 내야하는 거죠. 이러한 추가세금을 내지 않으려면 잊지말고 기간내에 납부하는게 중요하겠죠?  지금부터 간단하게 1분정도면 재산세납부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PC로 재산세 조회 및 납부하는 방법

아래 링크를 통해 위택스 홈페이지로 연결되며 재산세 조회와 납부를 바로 진행 할 수 있습니다.

 

링크를 통해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화살표를 보시면 7월 지방세캘린더에 재산세를 선택(클릭)합니다.

위택스 홈페이지 첫화면

재산세를 선택하면 로그인 화면이 나오는데요. 어떤 방법으로 로그인 하셔도 무관하지만 저의 경우는 카카오간편 인증을 통해 빠르게 로그인했습니다. 

위택스 로그인

로그인을 완료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납부해야 할 재산세 내역이 있으면 검색을 했을때 결과 항목이 나오게 되고 재산세를 바로 납부할 수 있게 납부항목이 나옵니다. 

재산세 검색 및 납부

 

2. 휴대폰 어플로 납부하는 방법

PC와 마찬가지로 위택스 어플을 다운로드후 납부하 실 수 있습니다. 어플이 없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미리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위택스 어플을 다운로드하시고 어플을 실행하면 아래화면과 같이 조회.납부를 선택하세요.

 

 

 

로그인은 간편인증을 통해 빠르게 로그인 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나 금융인증서가 있으신 분은 두 방법중 하나로 로그인 하셔도 됩니다. 

로그인까지 완료하면 재산세 조회가 가능하고 납부할 재산세가 있다면 선택하시고 납부 버튼을 누르시면 빠른납부가 가능합니다.

 

이제 재산세 납부를 완료했다면 7월과 9월에 2번 재산세를 내는 것인지 왜 나눠서 부과되는지 알아보고 재산세를 절세방법이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재산세 과세대상과 납부기간 

주택(1세대 1주택자 특례 세율 적용) ※ 별장은 4%

 재산세는 과세기준일(6월1일) 현재의 소유자에게 7월(1기분), 9월(2기분) 2회에 걸쳐 부과됩니다. 7월에는 주택 전체세액의 50%와 건축물에 대한 재산세가 부과되며, 9월에는 주택 전체세액의 나머지 50%와 토지에 대한 재산세가 부과됩니다.

 

재산세 절세 방법

재산세 절세 방법 중 하나는 연금을 가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택연금에 가입하게 되면 재산세를 25%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 단, 주택가격이 5억원이 초과 될 시에는 5억원에 대한 25%만 감면이 적용됩니다.

 

다른방법으로는 6월 1일 이후에 주택을 취득하는 방법으로 재산세가 6월 1일 기준으로 부과되기 때문에 그 이후에 취득을 하면 내년으로 재산세를 미루게 되는 방법이 됩니다.  하지만 주의해야할 점은 재산세는 기한을 놓치게 되면 3%의 가산금이 적용됩니다. 또한 세금이 30만원 이상이라면 매달 0.75%의 중가산금이 추가되기 때문에 기한을 놓치지 마시고 꼭 납부하시기 바랍니다.